다이버터의 중요성: 플라즈마 불순물을 어떻게 제거하는가?
다이버터의 핵심 임무: 핵융합로의 '배기 시스템' 💨 핵융합 장치 토카막에서 **다이버터(Divertor)**는 초고온 플라즈마의 순도를 유지하고 열 부하를 처리하는 가장 중요한 부품 중 하나입니다. 핵융합 반응으로 생긴 **헬륨 재(Ash)**나 용기 벽에서 나온 **불순물 입자**를 자기장으로 플라즈마 최외곽에서 분리하여 제거함으로써, 플라즈마가 식는 것을 막고 반응을 지속 가능하게 만듭니다. 핵융합 반응이 지속적으로 일어나기 위해서는 1억도 이상의 초고온 플라즈마가 **순수한 상태**로 유지되어야 합니다. 아무리 강력한 자기장으로 플라즈마를 가둔다고 해도,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음과 같은 불순물들이 플라즈마 내부에 축적됩니다. **핵융합 생성물:** 반응 결과물인 헬륨 원자핵 (알파 입자, 핵융합 '재' 또는 Ash) **침식 입자:** 초고온 플라즈마에 의해 진공용기 벽(Wall)이나 내벽 보호재(Limiters)가 침식되어 떨어져 나온 미세 금속 입자 **미반응 연료:** 핵융합 반응에 참여하지 않고 남은 중수소/삼중수소 연료 이러한 불순물들은 플라즈마 온도를 급격히 떨어뜨리거나 불안정성을 유발하여 핵융합 반응이 멈추게 만드는 '독(Poison)'과 같습니다. 이 문제를 해결하는 장치가 바로 **다이버터(Divertor)**입니다. 1. 플라즈마 순도 유지: 불순물을 '수거'하는 원리 🧹 다이버터의 핵심 기능은 핵융합 장치의 '배기 시스템' 역할을 수행하며 플라즈마 순도와 안정성을 높이는 것입니다. **자기장으로 외곽 분리:** 다이버터는 특수한 자기장 코일(폴로이달 자석 등)을 이용해 플라즈마의 가장자리 층인 **스크래프 오프 레이어(Scrape-Off Layer, SOL)**를 진공용기 내부 벽이 아닌 **다이버터 플레이트** 쪽으로 유도합니다....